LH정보모아모아 / / 2023. 3. 10. 17:46

2023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기간,신청조건, 장점, 주의사항 총정리

반응형

요즘 부동산가는 하락하면서 경제 경기 역시 어려워지고 있는데요. 이럴 때 청년분들, 그리고 수도권의 경우 더욱이 월세 부담이 크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청년으로 월세 부담의 고충을 잘 알고 있습니다. LH에서는 청년들의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청년전세임대주택'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시중 월세/전세 가격보다 더 저렴한 가격과 보증금 부담없이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청년분들이 적극 활용을 추천합니다. 

 

1.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기간

 

청년 임대주택의 신청기간은 따로 확정된 기간이 없습니다. LH 주택청약 홈페이지에서 공고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일년에 한번 정도 공고가 올라옵니다. 공고 중인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것인데요. LH 청약센터 홈페이지를 즐겨찾기 하거나 알림 설정을 통해서 공고 일정을 놓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공고가 일년에 한번 뿐이기 때문에 놓치면 다시 일년을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 꼭 두 가지 방법 중 한 가지를 설정해두고, 청년을 위한 제도를 100% 활용해보시기를 바랍니다. 

 

2.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입주)자격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제도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 나이 : 만 19세~ 39세에 해당하는 자 

  - 기준조건 : 신청자 본인이 무주택자로서 신청해당 연도를 기준으로 대학생, 취업준비생

    →  대학생 : 대학 재학 중이거나 입학, 복학 예정자

          취업준비생 :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를 중퇴한 후로 2년 이내에 취업하지 않은 취업 준비생 

  - 소득조건 : 아래의 당첨 순위 참고

나이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거나 나이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기준조건에 해당하는 자가 신청 대상자입니다. 

 

내가 위 조건에 해당된다면 공고기간 중에 신청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당첨 1순위는 생계/주거 의료급여 수급자 가구, 한부모가정, 차상위계층 가구에 해당하는 청년이 됩니다.

당첨 2순위는 본인과 부모님의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평균소득 100% 이하로 국민임대주택 자산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2021년 5월 기준으로 총 자산 29,200만원/ 자동차 3,496만원)

당첨 3순위는 본인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평균소득 100%이하인 청년입니다. (2021년 5월 기준으로 25,400만원/ 자동차 3,496만원) 

 

 

3.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장점

 

LH 청년전세임대주택이란 LH가 임차인으로 기존 주택임대인과 계약을 맺고, 청년에게 다시 저렴하게 재임대를 해주는 제도입니다. 청년들의 주거복지를 위한 정책입니다. 

LH 청년전세임대주택의 장점은 저렴한 금액으로 주택 임차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목돈이 들어가는 보증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데요. 보증금을 LH측에서 먼저 납부를 해주고, 보증금 이자도 1~2%로 매우 낮기 때문에 이자부담도 줄어듭니다. 

 

4. 신청 시 주의사항

 

마지막으로 LH 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 시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LH에서 보증금을 먼저 납부해주긴 하지만 지원가능한 보증금의 한도금액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한도액을 모르고 초과되는 금액을 신청할 경우, 본인이 부담해야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LH 홈페이지 공시내용

지원한도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지원이 가능한데요. 이 때는 초과하는 전세금액을 입주자가 부담할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단, 전세금 총액은 지원한도액의 150%, 셰어형은 200% 이내로 제한됩니다. 

 

LH 청년전세임대주택 관련하여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청약 일정이 일년에 한번 뿐이니 놓치지 않고, 신청하셔서 경제적 부담도 덜고 청년 제도 혜택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